감시단소개
인사말
연혁
목적 및 기능
조직도
오시는 길
청소년유해환경
유해매체물
유해업소
유해구역
유해약물
유해물건
참여마당
분야별모니터링반
교육
조사활동 및 캠페인운동
청소년유해환경 신고센터
신고하기
신고리스트
게시판
자유게시판
우리들만의 공간
추천마당
책소개
영화소개
추천사이트
* 제목
* 작성자
E-Mail
* 비밀번호
* 비밀번호확인
On 2023-11-01, '관리자' wrote: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>“급전 빌려줄게”…청소년 대상 불법사금융 광고 기승 >박채영 기자 | 입력 2023.6.21. > >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대리입금, 내구제대출(휴대폰깡) 등 불법사금융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. > >금융감독원은 2020~2022년 수집한 대리입금 관련 불법 금융 광고가 9257건으로 연평균 21.8%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. > > >특히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(SNS)에는 청소년에게 소액 대출을 유도하는 대리입금 광고가 지속적으로 올라오고 있다. 대리입금은 10만원 이하 소액을 빌려주고 단기간(7일 이내)에 원금의 20~50%를 갚게하는 고금리 불법사금융이다. 연 단위로 환산하면 이자율이 1000% 이상에 달한다. > >보통 사회관계망서비스(SNS) 등을 통해 게임 아이템이나 기념품 등의 구입비를 대신 입금해주고, 나중에 원금과 수고비, 지각비 등을 받는 고금리 불법사채여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. 금감원은 “법정 최고 금리(20%)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이자는 지급할 의무가 없다”고 강조했다. > >일명 ‘휴대폰깡’이라고 불리는 내구제대출의 청소년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. 내구제대출은 휴대폰을 개통해 제3자에게 제공하고 그 대가로 현금을 받는 것이다. 하지만 통신요금, 소액결제 등으로 실제 대출 받은 금액보다 많은 금액을 부담하게 될 수도 있고, 휴대폰 대포폰으로 악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. > >만약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거래내역 및 증빙자료를 확보해 금융감독원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에 신고하거나, 홈페이지를 통해 상담할 수 있다. 또 본인 모르게 개통된 휴대전화를 조회하거나 추가 개통을 차단하기 위해 명의도용 방지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. > >금감원은 청소년과 보호자에게 불법사금융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국 중·고등학교와 시·도 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온라인 가정통신문과 리플릿을 각 가정에 배포할 계획이다. 또한, 대리입금 피해예방 관련 실물 리플릿을 각 학교·교육청에 배포하여 일선 학교가 불법사금융 피해예방 관련 자체 교육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.
* 스팸방지코드
※ 이미지를 누르면 이미지가 변경됩니다.
Untitled Document
Copyright 2003 ⓒ by 부산YWCA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. All Rights Reserved.
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98 T.441-2221~5
Mail to us
admin